반응형
쉬땅나무(珍珠梅: false spiraea)는 장미과 쉬땅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입니다.
쉬땅나무는 중부 이북 지역에서 주로 자생하는 나무입니다. 평안·함경 지방에서는 수수깡(수숫대)을 쉬땅이라고 부르는데 이 나무의 꽃 모양이 마치 수수 이삭처럼 보이기 때문에 쉬땅나무라고 이름을 붙였다고 합니다. 쉬땅나무의 꽃을 처음보았을 때에 하얀색으로 빛이 나는 듯 아름다운 모습입니다. 제가 하얀 꽃을 좋아하는 데, 너무나 하얗고 밝게 빛나든 지... 특히, 햇빛이 내려 쬐이면 더욱 더 아름다운 것 같습니다.
쉬땅나무의 꽃말은 "신중", "진중"입니다.
학명
Sorbaria sorbifolia (L.) A.Braun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장미과
└ 쉬땅나무속
└ 쉬땅나무
다른이름
쉬땅나무, 개쉬땅나무, 밥쉬나무, 진주매(珍珠梅), false spiraea(거짓 조팝나무)
원산지
우리나라, 중국, 일본, 극동러시아
반응형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삼덩굴 (wild hop) (0) | 2020.06.21 |
---|---|
물싸리(golden hardhack) (0) | 2020.06.21 |
중산국수나무 (0) | 2020.05.31 |
일본조팝나무(Japanese Spiraea) (0) | 2020.05.24 |
피라칸다 (narrowleaf firethorn) (0) | 2020.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