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떡잎식물강/산토끼꽃목
불두화(佛頭花:Snowball tree)
자연&사람
2020. 5. 5. 20:38
반응형
불두화(佛頭花:Snowball tree)는 연복초과 산분꽃나무속의 활엽 관목(떨기나무)입니다.
불두화는 꽃의 모양이 부처님 머리 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 불려진 이름입니다. 또한 꽃을 피는 시기가 부처님 오신날인 음력 4월 8일 전후에 꽃이핍니다. 꽃에는 암술, 수술이 없는 무성화(無性花)이므로 씨앗으로 번식을 할 수 없기때문에 꺾꽂이(삽목) 등으로 번식을 합니다. 또한 불두화는 백당나무를 원예용으로 변종된 나무입니다. 꽃이 피면 매우 연한 녹색이었다가 시간이 지나면 하얀색으로 바뀝니다.
불두화의 꽃말은 "은혜", "베품", "무념", "제행무상(諸行無常)"입니다.
제행무상(諸行無常): 우주의 모든 사물은 늘 돌고 변하여 한 모양으로 머물러 있지 않는다.
학명
Viburnum sargenti Bl. f. sterile Hara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산토끼꽃목
└ 연복초과
└ 산분꽃나무속
└ 불두화
산분꽃나무속이 인동과에서 분화하여 연복초과로 변경됨.
다른이름
불두화(佛頭花), 승두화(僧頭花), 수국백당나무, 까마귀밥나무, 청백당나무, 鷄樹條莢蓬, 條子, 鷄樹條子
snowball tree, Guelder-rose
원산지
우리나라, 중국, 일본, 시베리아
반응형